목적
Moldflow 2024에서 새롭게 추가된 Assembly Analysis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07월30일 문서의 일부 내용이 수정되었습니다. -기존결과와 신규결과에 대한 설명과 사용방법-

기능소개
Moldflow 변형해석 옵션에서 사용해 볼수 있는 기능으로 변형 구속조건을 사용하여 강체 구조에서 성형 및 조립 후 부품의 형상을 예측해 볼수 있는 기능입니다. 해당기능은 모든 Mesh Type에서 사용 가능 합니다.
일반적으로 성형품은 수축을 하기 때문에 일부 사용자들은 금형 수축률이 반영된 금형데이터로 해석을 진행 합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축률이 반영된 금형데이터를 이용해야 합니다.
해당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금형의 수축률을 입력해야 합니다. 입력된 수축률을 기반으로 모델링 데이터를 Moldflow가 계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축률을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으면 전혀 다른 결과가 도출 될 수 있으니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여 해석을 진행하면 기존 변형해석결과와 함께 “Deviation from part design”(설계제품과의 편차) 라는 새로운 결과가 출력 됩니다. 해당 결과는 실제 변형의 크기를 보여주는 결과가 아닌 계산되어진 설계제품과의 편차를 보여줍니다.
구속조건을 지정하지 않으면 입력한 수축률를 고려한 설계데이터를 계산하여 구속없는 일반적인 변형결과와 설계데이터와의 편차 결과 새로운 결과를 통해 확인 할 수 있고, 구속조건을 지정하면 금형내부에서의 구속을 고려한 결과를 기존 변형해석 결과에서, 계산된 설계제품과의 편차를 새롭게 추가된 결과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석진행 따라하기
1. 변형해석 옵션창에서 “Adjust constraint positions according to mold shrinkage allowance”를 사용하기 위해 체크 합니다.

2. 변형해석 옵션창에서 “Adjust constraint positions according to mold shrinkage allowance”를 사용하기 위해 체크 합니다.

3. 제품 구속 위치에 구속조건을 사용할 것인지 말것인지를 결정 합니다.
- 구속조건을 입력하여 금형의 구속과 조립을 고려한 변형해석을 진행 하고자 한다면 구속조건을 입력하고 해석을 진행 합니다.
– 변형 해석 시 금형 내에서 구속조건에 따른 변형을 계산하고 구속조건 위치는 입력한 금형 수축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기존 결과)
– 추가된 결과에서는 입력한 수축량을 기반으로 계산된 설계데이터와 변형해석결과의 위치별 편차를 보여 줍니다. - 구속조건을 입력하지 않고 금형의 수축률만 고려한 변형해석을 진행 하고자 한다면 구속조건을 입력하지 않고 해석을 진행 합니다.
-구속조건을 입력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 결과는 옵션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동일한 결과가 출력 됩니다.
-추가된 결과에서는 입력한 수축량을 기반으로 계산된 설계 데이터와 변형결과와의 위치별 편차를 보여줍니다.
4. 금형의 구속과 변형 후 조립부를 고려한 해석을 하기위해 구속조건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